히포크라테스 선서/제네바 선언

Info./백과

2014. 11. 12. 22:16

히포크라테스 선서

히포크라테스(HippocratesBC 460 - 377)는 보통 "의학의 아버지" 혹은 의성()이라고 불리는 그리스의 의사이다. 히포크라테스 선서는 히포크라테스가 말한 의료의 윤리적 지침으로 의사가 될 때 선서를 한다. 다음은 히포크라테스 선서의 내용이다.

    이제 의업에 종사할 허락을 받으매 나의 생애를 인류봉사에 바칠 것을 엄숙히 서약하노라.

  • 나의 은사에 대하여 존경과 감사를 드리겠노라.

  • 나의 양심과 위엄으로서 의술을 베풀겠노라.

  • 나의 환자의 건강과 생명을 첫째로 생각하겠노라.

  • 나는 환자가 알려준 모든 내정의 비밀을 지키겠노라.

  • 나의 위업의 고귀한 전통과 명예를 유지하겠노라.

  • 나는 동업자를 형제처럼 생각하겠노라.

  • 나는 인종, 종교, 국적, 정당정파, 또는 사회적 지위 여하를 초월하여 오직 환자에게 대한 나의 의무를 지키겠노라.

  • 나는 인간의 생명을 수태된 때로부터 지상의 것으로 존중히 여기겠노라.

  • 비록 위협을 당할지라도 나의 지식을 인도에 어긋나게 쓰지 않겠노라.


  • 이상의 서약을 나의 자유 의사로 나의 명예를 받들어 하노라.


[네이버 지식백과] 히포크라테스 선서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히포크라테스 선서 & 제네바 선언

인간의 생명을 최대한 존중하겠다!

Oath of Hippocrates & Declaration of Geneva ]
구분연도

히포크라테스 선서

BC 5세기

제네바 선언

1948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에 의해 씌어진 이 선서는 의학 윤리를 담은 가장 대표적인 문서 중 하나로서, 기원전 5세기에서 4세기 사이에 기록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히포크라테스는 그 당시의 그리스 인들 사이에서 신앙의 대상이었던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와의 연관성을 표방하면서 의술을 펼쳤던 아스클레피오스 학파 가문에서 태어났다. 당시에 모든 의사가 이 선서에 서약했던 것이 아니라, 히포크라테스 가문, 즉 아스클레피오스 학파의 가문에 속하지 않는 다른 가문의 사람들이 의술을 배우러 올 경우에 한하여, 이 선서에 서약하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제는 오늘날의 상황에 맞게 이 선서를 수정한 〈제네바 선언〉이 일반적으로 읽히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의과 대학을 졸업할 때 쓰이는 선서문도 사실은 제네바 선언문이다. 1948년 스위스의 제네바에서 개최된 세계 의학 협회 총회에서 채택된 〈제네바 선언〉은 1968년 시드니에서 개최된 제22차 세계 의학 협회에서 최종적으로 수정 작업을 거친 후 완성되었다.

여기서는 〈히포크라테스 선서〉와 〈제네바 선언〉을 함께 싣는다.

히포크라테스 선서

나는 의술을 주관하는 아폴론1)과 아스클레피오스2)와 히기에이아3)와 파나케이아4)를 포함하여 모든 신 앞에서, 내 능력과 판단에 따라 이 선서와 그에 따른 조항을 지키겠다고 맹세한다. 나에게 의술을 가르쳐 주신 분을 나의 부모와 다를 바 없이 소중하게 섬기고, 내가 소유한 모든 물질을 그분과 공유하면서 그분이 궁핍할 때는 그분을 도와주고, 그분의 자손을 나의 형제와 같이 여기고, 그들이 의술을 배우고 싶어 하면 보수나 조건 없이 그들에게 의술을 가르치고, 내 아들과 내 스승의 아들과 의술의 원칙을 따르겠다고 선서한 제자들에게만 교훈과 강의를 포함하여 모든 방식의 교수법으로 의술에 관한 지식을 전달할 따름이고, 그 밖의 사람들에게는 전달하지 않겠다.



고대 이집트의 의술이집트에서 출토된 처방문. 약에 관한 내용과 치료용 주문도 들어 있다.

내 능력과 판단에 따라, 나는 환자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 처방을 따를 뿐 환자에게 해를 끼칠 수 있는 처방은 절대로 따르지 않겠다. 나는 어떤 요청을 받더라도 치명적인 의약품을 아무에게도 투여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렇게 하도록 권고하지도 않겠다. 또한 마찬가지로 나는 어떤 여성에게도 낙태시킬 수 있는 질 좌약을 주지 않겠다. 나는 내 일생 동안 나의 의술을 순수하고 경건하게 펼쳐 나가겠다. 나는 결석을 앓는 환자에게 절제수술을 하지 않겠지만, 이 분야의 전문의들이 그러한 절제수술을 하는 행위는 인정하겠다.

내가 어떤 집을 방문하든지 오로지 환자를 돕는 일에만 힘쓸 따름이고, 고의로 어떤 형태의 비행을 일삼거나 피해를 끼치는 일은 절대로 저지르지 않겠으며, 특히 노예든 자유민이든 신분을 가리지 않을 뿐만 아니라 남자이든 여자이든 성별을 구분하지 않고, 모든 환자의 신체를 능욕하는 일이 없도록 하겠다. 나의 직무 수행과 관련된 일이든 전혀 관련이 없는 일이든 관계 없이, 내가 보거나 듣는 바로서 그 사실이 절대로 세상에 알려져서는 안 되는 경우에, 나는 일체의 비밀을 결코 누설하지 않겠다.

내가 이 선서를 절대로 어기지 않고 계속해서 지켜 나간다면, 나는 내 일생 동안 나의 의술을 베풀면서 모든 사람들로부터 항상 존경을 받게 될 것이다. 하지만 만일 내가 이 선서를 어기고 약속을 저버린다면, 나의 운명은 그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치닫게 될 것이다.

제네바 선언

의업에 종사하는 일원으로서 인정받는 이 순간에,
나의 일생을 인류 봉사에 바칠 것을 엄숙히 서약한다.
나의 스승에게 마땅히 받아야 할 존경과 감사를 드리겠다.
나의 의술을 양심과 품위를 유지하면서 베풀겠다.
나는 환자의 건강을 가장 우선적으로 배려하겠다.
나의 환자에 관한 모든 비밀을 절대로 지키겠다.
나는 의업의 고귀한 전통과 명예를 유지하겠다.
나는 동료를 형제처럼 여기겠다.
나는 종교나 국적이나 인종이나 정치적 입장이나 사회적 신분을 초월하여 오직 환자에 대한 나의 의무를 다하겠다.
나는 생명이 수태된 순간부터 인간의 생명을 최대한 존중하겠다.
어떤 위협이 닥칠지라도 나의 의학 지식을 인륜에 어긋나게 쓰지 않겠다.
나는 아무 거리낌 없이 나의 명예를 걸고 위와 같이 서약한다.

각주

  1. 1 아폴론(Apollon):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신으로서 제우스와 레나의 아들이고 올림포스 12신 가운데 하나이며, 예언·의료·궁술·음악·시의 신이다. 광명의 신이기도 하여 나중에는 태양신과 동일시되었다. 로마 신화의 아폴로에 해당한다.
  2. 2 아스클레피오스(Asclepios):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의술의 신으로서 아폴론의 아들이며, 죽은 사람을 소생시키는 능력을 가졌다고 한다.
  3. 3 히기에이아(Hygeia):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건강의 여신으로서 아스클레피오스의 맏딸이며, 최초의 간호사라고 한다.
  4. 4 파나케이아(Panacea):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약초의 여신으로서 아스클레피오스의 막내딸이며, 만병 통치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히포크라테스 선서 & 제네바 선언 [Oath of Hippocrates & Declaration of Geneva] - 인간의 생명을 최대한 존중하겠다! (세계를 바꾼 연설과 선언, 2006.1.15, 서해문집)





'Info. > 백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극적 안락사 -Jack Kevorkian  (0) 2014.11.12